공기업 연봉 순위 총정리: 분야별 평균 연봉과 신입 초봉 비교
공기업 연봉 순위 얼마야?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2025 공기업 연봉 순위를 정리해왔습니다.
주변에서 “공기업 연봉 괜찮다더라~”, “공무원보다 높다!”, “대기업이랑 비교해도 손색없다”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하지만 실제 수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공기업 연봉은 분야별로 차이가 크고, 기관 성격에 따라 근무 환경과 장단점도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분야별 평균 연봉, 신입 초봉, 대표 공기업 순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어요.
💼 1. SOC 공기업
도로, 철도, 공항, 주택 등 사회간접자본을 관리하는 공기업이에요.
대표 기관: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국제공항공사
평균 연봉: 약 7,500만 원
신입 초봉: 약 3,800만 원
연봉 순위 TOP5
인천국제공항공사
울산항만공사
SR(주식회사 에스알)
한국도로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 SOC 공기업 특징: 국가 인프라 운영, 기술·공학 전공자 우대, 현장 근무 多
2. 에너지 공기업
전기·가스·석유·원자력을 담당하는 에너지 분야 공기업입니다.
대표 기관: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석유공사
평균 연봉: 약 8,500만 원
신입 초봉: 약 4,200만 원
연봉 순위 TOP5
한국가스공사
한국서부발전
한국전력거래소
한국남부발전
한국중부발전
✔ 특징: 공학계열 전공자 강세, 지방 근무 가능성 높음
3. 금융 공기업
정책금융, 보증, 자산관리를 담당하는 고연봉 분야!
대표 기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캠코)
평균 연봉: 약 9,500만 원
신입 초봉: 약 5,000만 원
연봉 순위 TOP5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예탁결제원
✔ 특징: 경영·경제 전공자 선호, 시험 난이도 높음, 업무 강도 高
산업은행 평균 연봉??
산은 연봉 나이스 평가정보
블라인드에서 말하는 평균 연봉은 8천 정도라고 하는데요. 기본급에 수당이 붙은 금액으로 보여집니다. (공기업 전체 신입 연봉 기본급만 비교했을 때 4위 정도이며 A매치 기업끼리 비교하면 금액 차이가 크지 않은 편입니다)
공기업은 아니지만 A매치로 들어가는 금융감독원 연봉과 장단점은?
(24년 기준) 평균 연봉은 1억 200만 원, 기본급 5900만 원
고정수당 3100만 원(각종 급여성 복리후생 포함), 평균 근속 연수 12년
신입사원 초봉은 4700만 원(장점) 여의도 근무 / 대중 인지도 / 영업 없음
(단점) 이직 제한, 업무 스트레스와 업무량, 생각보다 낮은 연봉, 금융위 권한 등
4. 고용·보건·복지 공기업
국민연금, 건강보험, 근로복지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예요.
평균 연봉: 약 6,800만 원
신입 초봉: 약 3,700만 원
✔ 특징: 사회복지·보건 전공자 선호, 민원 응대 많음, 조직 안정적
5. 문화·예술·외교 공기업
K-문화, 콘텐츠, 국제협력을 담당하는 공기업입니다.
대표 기관: 한국관광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KOICA
평균 연봉: 약 5,600만 원
신입 초봉: 약 3,780만 원
✔ 특징: 문화·외교 전공자 우대, 비영리 성격, 분위기 차분
문화/국민/생활 연봉 순위는????
(1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2위) 한국과학창의재단
(3위) 한국마사회
(4위)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5위)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외교/법무 연봉 순위는????
(1위) 한국국제협력단(KOICA)
(2위)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3위) 한국공정거래조정원
(4위) 한국법제연구원
(5위) 한국국제교류재단
6. 농림·수산·환경 공기업
환경·농업·수자원 관리 담당. 대표적으로 aT, 농어촌공사, 환경공단, 수자원공사
평균 연봉: 약 6,800만 원
신입 초봉: 약 3,600만 원
✔ 특징: 환경공학·농업 전공자 강세, 지역 근무 가능
7. 산업·정보·진흥 공기업
산업·무역·스타트업·IT 진흥 등 민간 협업도 활발한 분야예요.
평균 연봉: 약 7,800만 원
신입 초봉: 약 4,000만 원
✔ 특징: IT·산업공학·디자인 전공자 우대, 마케팅·기획 업무 多
산업 / 진흥 / 정보화 공기업 연봉 순위는????
(1위) 한국벤처투자
(2위) 국립광주과학관
(3위) 한국산업단지공단
(4위) 국립대구과학관
(5위) 창업진흥원
8. 연구·교육 공기업
국가 연구개발과 학술 지원을 담당하는 기관들입니다.
평균 연봉: 약 8,800만 원
신입 초봉: 약 4,500만 원
✔ 특징: 연구직 비중 높음, 내근 중심, 정책·교육 전공자 선호
연구 / 교육 공기업 연봉 순위는????
(1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위) 한국원자력연구원
(3위) 항공안전기술원
(4위) 한국연구재단
(5위) 한국과학기술원
검사/검증 공기업 연봉 순위는????
(1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위) 국방기술품질원
(3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위) 한국국토정보공사
(5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공기업 연봉, 대기업과 비교하면?
금융 공기업 → 평균 9천만 원 이상으로 최상위
에너지·연구 분야 → 8천만 원대, 안정적
SOC·복지·환경 분야 → 6~7천만 원대, 지역 근무 많음
공기업은 호봉제 기반이라 장기 근속 시 대기업과 격차가 줄어듭니다.
대기업은 초봉이 높아도 구조조정 위험이 있지만, 공기업은 안정성과 정년 보장이 강점이에요.
공기업의 경영 공시에 나온 정보와 실제 수령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군복무나 관련 경력이 호봉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고 기본급 외에도 수당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회사 안에서도 급여 차이가 일부 있습니다.
분야별로도 차이가 존재하죠? 금융에선 평균 연봉이 8천 이상으로 높은 편이고요. 지방, 기타 공공 기관은 민간보다 적게 받기도 합니다.
“생각보다 많이 받는다.”, “아니다.”
여전히 의견은 갈릴 수 있겠지만, 공기업은 호봉제 기반으로 수령액이 점점 올라갑니다. 초봉이 센 대기업과도 격차가 점차 줄어듭니다. 장기 근속 15년 이상이 되면 대기업의 상위 소수(임원직)을 제외하고 비슷합니다.
그러나 대기업은 장기 근속할수록 구조조정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살아남아야 한다~~🤬) 그에 비해 공기업은 더 안정적으로 일을 할 수 있어 대기업과 소득 구간이 좁혀지거나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임금피크제 역시 정년 기간을 늘릴 수 있으므로 미래 소득 부담을 줄이는 요인입니다. 다만, 직무급제* 도입 시 부서, 업무량, 책임 정도 등에 따라 보수 체계가 달라질 수 있는데요. 개인의 근속 연수보다 직무의 가치 중심으로 임금이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직무급제는 노사 합의를 통해 결정되기 때문에 무늬만 직무급인 경우가 많습니다. (노사 갈등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아직 차별성이 크지 않은 건데요. 이건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할 걸로 보입니다. 아직은 연공서열 위주 🐥)
공기업 분야별 연봉 순위 재밌게 봤나요?
공기업 연봉 순위가 공기업 취업에 대한 매력을 더 보여줬길 바랍니다. 그럼 요약본 읽고 담 주에 또 봐요~~🐤